software-design

럼바우(Rumbaugh) 객체지향 분석 기법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다 보면 다양한 분석 방법을 접하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초보 개발자들이 꼭 알아야 할 럼바우(Rumbaugh) 객체지향 분석 기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럼바우 객체지향 분석 기법이란?

럼바우(Rumbaugh) 객체지향 분석 기법은 OMT(Object Modeling Technique)라고 불리며, 객체지향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계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이 기법은 다음의 세 가지 모델링 단계로 나뉩니다.

1. 객체 모델링(Object Modeling)

객체 모델링은 가장 먼저 해야 하는 모델링 단계입니다. 객체 모델링은 시스템에서 필요한 객체를 찾고, 그 객체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관계)를 정의합니다. 이를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객체 다이어그램이 사용됩니다.

  • 주요 키워드 : 객체, 모델링
  • 다이어그램 : 객체 다이어그램

2. 동적 모델링(Dynamic Modeling)

객체 모델링 다음 단계로, 객체 간의 상태 변화와 시간 흐름에 따른 동작 순서를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객체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동작하는지 표현하며, 상태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냅니다.

  • 주요 키워드 : 상태, 동작 순서
  • 다이어그램 : 상태 다이어그램

3. 기능 모델링(Functional Modeling)

마지막으로, 시스템의 처리 과정을 자료 흐름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자료가 프로세스 사이에서 어떻게 흘러가는지 나타내며, 자료 흐름도(DFD)로 표현합니다.

  • 주요 키워드 : 자료 흐름도(DFD)
  • 다이어그램 : 자료 흐름도(DFD)

럼바우 기법은 일반적으로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합니다.

  1. 객체 모델링
  2. 동적 모델링
  3. 기능 모델링

정리

럼바우(Rumbaugh) 객체지향 분석 기법은 OMT(Object Modeling Technique)라고 불리며, 객체지향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계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James Rumbaugh가 제안한 이 기법은 시스템을 객체 모델(Object Model), 동적 모델(Dynamic Model), 기능 모델(Functional Model)의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합니다.

  • 객체 모델: 클래스와 객체 간의 정적인 구조와 관계(상속, 연관 등)를 표현
  • 동적 모델: 상태도(State Diagram)를 통해 객체의 상태 변화와 이벤트 흐름을 표현
  • 기능 모델: 데이터 흐름도(DFD)를 사용하여 시스템 내의 기능 및 연산 흐름을 정의

이 기법은 복잡한 시스템을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해주며, 후속 설계 및 구현 단계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기반이 되기도 하여 현재의 다양한 객체지향 설계 방법에 영향을 끼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