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 모델별 특징과 용도 완전 정복하기 (Tesla T4, L4, RTX A 시리즈)
GPU(Graphics Processing Unit)는 원래 컴퓨터 그래픽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그래픽 처리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학습, 딥러닝 추론, 과학적 데이터 분석, 시뮬레이션, 가상현실(VR) 구현 등 다양한 고성능 연산 작업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GPU는 뛰어난 병렬 처리 능력 덕분에 CPU만으로는 어려운 대규모 연산 작업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NVIDIA의 대표적인 GPU 모델인 Tesla T4, L4, Quadro RTX, RTX A 시리즈를 중심으로, GPU의 기본 개념부터 모델별 특징과 용도까지 쉽고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GPU의 주요 구성 요소
1.1 CUDA 코어
CUDA 코어는 GPU 안에 빼곡히 들어 있는 '작업자(worker)'입니다. 이 코어들이 동시에 수천 개씩 일하면, 우리가 보는 화면 한 장면을 구성하는 수백만 개의 픽셀을 빠르게 계산하거나, 복잡한 숫자 계산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큰 사진을 색칠해야 한다면, 한 사람(CPU)보다 여러 사람이(CUDA 코어) 동시에 색을 칠할 때 훨씬 빨리 끝나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3D 게임의 화려한 그래픽을 부드럽게 띄우거나, AI가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할 때 CUDA 코어 수가 많으면 전반적인 속도가 크게 개선됩니다.
1.2 Tensor 코어
Tensor 코어는 '인공지능 연산 전용 고속도로' 같은 코어입니다. 딥러닝에서는 수많은 행렬 곱셈(matrix multiplication)이 필수적인데, 일반 CUDA 코어로 처리하면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어요. Tensor 코어는 이 연산만 쏙 빼서 전담해 빠르게 처리해 주기 때문에, AI 모델을 학습하거나 결과를 추론하는 데 드는 시간을 대폭 줄여 줍니다. 마치 일반 도로 대신 고속도로를 이용해 출퇴근 시간을 단축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이해하기 쉬워요.
1.3 RT 코어
RT 코어는 '빛 추적 탐정'이라고 부를 수 있는 전용 코어입니다. 빛이 유리창에 반사되고 벽에 부딪혀 그림자를 만드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계산해야 하는데, 이 작업은 일반 연산으로 처리하기엔 너무 무겁습니다. RT 코어가 이 계산을 전담해 주면, 영화나 게임에서 현실감 넘치는 반사·그림자·투명 효과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죠. 마치 복잡한 미로 속에서 빛이 어디로 가는지 일일이 따라다니며 기록하는 전담 요원이 있다고 생각하면 훨씬 이해가 쉬울 거예요.
1.4 VRAM(비디오 메모리)
VRAM은 GPU가 '작업하면서 바로 꺼내 쓸 자료'를 저장해 두는 책상 위 공간과 같습니다. 이곳에 그림 파일, 3D 모델 정보, AI 학습용 데이터 등을 미리 올려두면, GPU는 필요한 데이터를 즉시 꺼내 쓸 수 있어 속도가 빨라집니다. 만약 이 공간이 작으면, 큰 그림을 그리다 말고 파일을 계속 들고 오가야 해서 시간이 지체되겠죠? 그래서 고해상도 영상 편집이나 방대한 AI 데이터셋을 다룰 때는 VRAM 용량이 넉넉해야 작업이 끊기지 않고 매끄럽게 진행됩니다.
1.5 TDP(열 설계 전력)
TDP는 GPU가 '전력 최고 출력'을 얼마만큼 낼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자동차로 치면 최대 토크와 비슷한 개념으로, 힘을 많이 쓰면 그만큼 기름(전력)도 더 소모되고 열도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높은 TDP를 가진 GPU는 성능이 좋지만, 이를 식히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쿨러와 파워서플라이(PSU)가 필수적입니다. 반대로 전력 소비가 적어 설계가 간단해도, 너무 낮으면 원하는 성능을 내기 어려워 적절한 균형이 중요합니다.
1.6 아키텍처 세대
GPU 아키텍처는 설계 도면과 같습니다. 예전 모델(Turing)에서 최신 모델(Ampere, Ada Lovelace)로 넘어갈수록 회로가 더 정교해지고 처리 효율이 좋아지며, 새로운 기능도 추가됩니다. 보통 같은 전력 내에서 더 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고, 전기를 덜 쓰면서도 빠르게 동작하죠. 스마트폰이 세대를 거듭하며 배터리 사용 시간과 속도가 개선되는 것처럼, GPU도 세대가 올라갈수록 소비 전력 대비 성능이 꾸준히 향상됩니다.
1.7 NVLink
NVLink는 여러 GPU를 '네트워크 케이블'로 연결해 주는 기술입니다. 일반 PCIe 슬롯을 통할 때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메모리를 공유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 대형 AI 모델을 학습하거나 방대한 과학 시뮬레이션을 돌릴 때 유리합니다. 마치 여러 공장에서 생산된 부품을 고속도로를 이용해 바로바로 옮겨 조립하는 공정처럼, 각 GPU가 서로의 메모리를 즉시 활용해 일의 흐름이 매끄러워집니다.
1.8 ECC 메모리
ECC(Error-Correcting Code) 메모리는 '오타 자동 교정 기능'이 있습니다. 일반 메모리에서 작은 오류(비트 단위 오류)가 발생하면 결과가 크게 틀어질 수 있는데, ECC 메모리는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수정해 줍니다. 우주선 제어 시스템이나 금융 거래 시스템처럼 작은 오류도 치명적인 곳에서 필수적인 이유입니다. 쉽게 말해, 중요한 문서를 작성할 때 자동 맞춤법 검사를 켜 놓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이처럼 GPU는 각각의 특화된 코어와 메모리, 전력·열 관리, 설계 세대, 연결 기술, 오류 수정 기능이 어우러져 비로소 빠르고 안정적인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GPU 모델별 분류와 특징
GPU는 그 용도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AI 추론(inference)과 대규모 데이터센터 환경에 최적화된 데이터센터용 GPU, 다른 하나는 전문가용 그래픽 작업과 시각화에 적합한 워크스테이션용 GPU입니다. 이러한 구분은 단순한 마케팅 전략이 아니라, 아키텍처 설계, 메모리 구성, 전력 효율성 등에서의 근본적인 차이에 기반합니다.
2-1. 데이터센터용 GPU: AI 추론과 대규모 처리에 최적화
데이터센터용 GPU는 대규모 AI 모델의 추론, 고속 병렬 연산, 멀티테넌시 환경에서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됩니다. 이러한 GPU는 고성능 메모리(HBM2 또는 HBM3), 높은 메모리 대역폭, 다양한 연산 정밀도 지원(FP32, FP16, INT8, INT4 등), 그리고 멀티 인스턴스 GPU(MIG) 기능을 통해 하나의 GPU를 여러 개의 가상 GPU로 분할하여 효율적인 자원 활용이 가능합니다.
대표 모델
- NVIDIA A100: Ampere 아키텍처 기반으로, 40GB 또는 80GB의 HBM2e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최대 2TB/s 이상의 메모리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TF32, BF16, INT8, INT4 등 다양한 연산 모드를 지원하여 대규모 모델 추론에 유리합니다.
- NVIDIA H100: 최신 Hopper 아키텍처 기반으로, 80GB 또는 94GB의 HBM3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최대 3.9TB/s의 메모리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초대규모 LLM(대형 언어 모델) 추론에 최적화된 엔터프라이즈급 솔루션입니다.
- NVIDIA A30: 24GB의 HBM2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933GB/s의 메모리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고대역폭 메모리와 강력한 Tensor 코어를 바탕으로 대규모 배치 처리와 멀티테넌시 환경에 탁월합니다.
- NVIDIA A10: 24GB의 GDDR6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600GB/s의 메모리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VRAM과 연산 자원을 균형 있게 갖춰 중형 AI 서비스에서 높은 처리량과 안정적인 지연 시간을 제공합니다.
- NVIDIA L4: Ada Lovelace 아키텍처 기반으로, 24GB의 GDDR6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72W의 저전력 설계로 엣지 서버나 소규모 가상화 환경에 최적화된 저전력 GPU입니다.
2-2. 워크스테이션용 GPU: 전문가용 그래픽 작업과 시각화에 최적화
워크스테이션용 GPU는 주로 3D 모델링, 렌더링, CAD, 영상 편집, 과학적 시각화 등 전문가용 그래픽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GPU는 높은 정밀도의 연산과 고해상도 그래픽 처리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일반적으로 GDDR6 또는 GDDR6X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대표 모델
- RTX 6000 Ada: Ada Lovelace 아키텍처 기반으로, 48GB의 GDDR6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4nm 공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대규모 시각화 작업과 복잡한 3D 모델링에 적합합니다.
- RTX 5000 Ada: 32GB의 GDDR6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4nm 공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중대형 프로젝트의 그래픽 작업에 적합합니다.
- RTX 4000 Ada: 20GB의 GDDR6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4nm 공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중소형 프로젝트나 고해상도 영상 편집에 적합합니다.
- RTX 4090 / 4080 / 4070: 게이밍용 GPU이지만, 높은 연산 성능과 메모리 용량으로 인해 일부 전문가용 작업에도 활용됩니다. 각각 24GB, 16GB, 12GB의 GDDR6X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용 GPU는 대규모 AI 추론과 병렬 연산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고성능 메모리와 다양한 연산 정밀도 지원, 멀티 인스턴스 GPU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반면, 워크스테이션용 GPU는 전문가용 그래픽 작업과 시각화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높은 정밀도의 연산과 고해상도 그래픽 처리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사용자의 필요와 작업 환경에 따라 적절한 GPU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어떤 GPU를 선택해야 할까?
GPU를 고를 때는 사용 목적과 예산, 전력·발열 관리 능력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아래 기준을 참고하면 좋습니다.
4.1 아키텍처 세대
GPU의 '설계 도면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아키텍처는 세대가 올라갈수록 동일한 전력 한도 내에서 더 높은 연산 성능을 내고 전력 효율도 개선됩니다. 다만, "Ampere"나 "Ada Lovelace" 같은 아키텍처 이름은 실제 제품명(예: NVIDIA RTX A4000 D6 16GB)에는 포함되지 않고, NVIDIA 공식 데이터시트나 기술 백서(whitepaper)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Turing → Ampere → Ada Lovelace 순으로 성능·전력 효율·신기능이 업그레이드되어 왔습니다.
- 예컨대 같은 전력 제한(예: 300 W) 하에서, Ampere 기반 GPU는 Turing 대비 더 많은 CUDA/Tensor/RT 코어를 제공하고 처리량을 높이며, Ada Lovelace는 다시 Ampere 대비 전력 대비 성능을 추가로 끌어올립니다.
- 새 장비를 도입할 때는 최소 Ampere 기반 제품을, 가능하다면 최신 Ada Lovelace 기반 제품을 선택해 같은 전력 예산에서 최대 성능을 확보해야 합니다.
4.2 워크스테이션(그래픽·개발) 환경
디자이너의 3D 모델링, 엔지니어의 과학 계산, 개발자의 중간 규모 AI 실험 등 다양한 작업을 한 대의 PC에서 처리해야 하는 워크스테이션에는 다음과 같은 프로페셔널 GPU들이 무난합니다.
• 입문·소형 폼팩터: RTX A2000
- 아키텍처: Ampere
- VRAM: 8 GB GDDR6
- TDP: 70 W (로우 프로파일·듀얼 슬롯)
- 주요 특징:
- 작은 크기와 낮은 전력 소모로 소형 워크스테이션이나 렌더 노드에 적합
- 2D/3D CAD, 경량 렌더링, 중소규모 AI 실험까지 커버
- 추천 포인트: 예산이나 공간 제약이 크고, 가볍게 3D 작업과 AI 테스트를 해보고 싶을 때
• 메인스트림·밸런스형: RTX A4000
- 아키텍처: Ampere
- VRAM: 16 GB GDDR6
- TDP: 140 W
- 주요 특징:
- 중간급 VRAM과 CUDA/Tensor 코어 수로 고해상도 그래픽과 중간 규모 AI 학습까지 무리 없이 수행
- 일반 ATX 워크스테이션 케이스에 무난히 장착 가능
- 쿨링·소음 관리가 비교적 쉬워 개인 작업실·소규모 팀에 인기
- 추천 포인트: 3D 모델링, 영상 후반 작업, 대여섯 명 동시 개발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 보장
• 중급·강화형: RTX A4500
- 아키텍처: Ampere
- VRAM: 20 GB GDDR6
- TDP: 200 W
- 주요 특징:
- A4000 대비 VRAM과 코어 수를 늘려 대형 씬 렌더링과 배치(batch) AI 학습 효율 강화
- 미들타워 워크스테이션에도 장착 가능하며, 발열 제어만 잘 해 주면 장시간 무리 없이 구동
- 추천 포인트: 복잡한 건축 시각화, 대규모 물리 시뮬레이션, 배치 단위 AI 학습이 주요 작업일 때
• 고급·프로페셔널: RTX A5000
- 아키텍처: Ampere
- VRAM: 24 GB GDDR6
- TDP: 230 W
- 주요 특징:
- 대용량 VRAM과 강력한 CUDA·Tensor 코어로 연구실·엔지니어링 팀의 복잡한 워크로드를 안정적으로 처리
- ECC 메모리 지원으로 데이터 무결성 보장
- 추천 포인트: 금융 리스크 분석, 대형 AI 모델 실험, 과학·공학 계산처럼 오류 없이 대용량 데이터를 다룰 때
• 엔드프로페셔널·극한 워크로드: RTX A6000
- 아키텍처: Ampere
- VRAM: 48 GB GDDR6 ECC
- TDP: 300 W
- 주요 특징:
- 업계 최대 용량의 VRAM과 최고 사양의 연산 자원
- 대규모 분산 학습, 8K 비디오 후반 작업, 정밀 과학 시뮬레이션 등에 최적
- 추천 포인트: 예산이 충분하고 "어떤 워크로드도 메모리 부족 없이" 처리해야 하는 초대형 프로젝트에
• 차세대 프로페셔널: RTX 6000 Ada Generation
- 아키텍처: Ada Lovelace
- VRAM: 48 GB GDDR6 ECC
- TDP: 약 300 W
- 주요 특징:
- Ampere보다 향상된 전력 대비 성능, Ray Tracing·Tensor 코어 성능 대폭 업그레이드
- 동일한 전력 예산에서 더 높은 프레임률과 AI 처리량 확보
- 추천 포인트: 최신 그래픽 API(DirectX 12 Ultimate 등)와 초대형 AI 모델의 최대 성능을 끌어내고 싶을 때
정리 추천
- 가볍게 시작 → RTX A2000
- 균형 잡힌 성능 → RTX A4000 / A4500
- 무거운 배치·시뮬레이션 → RTX A5000
- 극한 워크로드 → RTX A6000 / 6000 Ada
이렇게 다양한 모델 라인업 중에서 작업 특성(모델링 vs. 배치 학습 vs. 대용량 시뮬레이션), 예산, 전원·쿨링 설계 가능 여부를 고려해 최적의 워크스테이션 GPU를 선택하세요!
4.3 최고급(엔터프라이즈) 환경
초대규모 데이터셋 처리, 8K 이상 해상도 영상 편집, 최첨단 AI 모델 학습 등 가장 높은 성능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환경에는 다음과 같은 GPU를 고려해 보세요.
• 하이엔드 워크스테이션: RTX A6000
- 아키텍처: Ampere
- VRAM: 48 GB GDDR6 ECC
- TDP: 300 W
- 주요 특징:
- 업계 최대급 VRAM과 ECC 메모리로 메모리 오류 걱정 없이 방대한 데이터를 올려두고 작업
- CUDA 10,752개·Tensor 336개·RT 코어 84개 탑재로 복잡한 렌더링과 과학 시뮬레이션, 대규모 분산 학습 지원
- NVLink 브릿지를 통해 다수 장비를 묶어 VRAM과 연산 성능을 선형 확장 가능
- 추천 포인트:
- 8K 후반 작업, 대형 VFX 파이프라인, 초대형 AI 연구실에서부터 방송·미디어 제작 스튜디오에 이르기까지 '단일 카드로 최상의 안정성'을 원할 때
• 차세대 워크스테이션: RTX 6000 Ada Generation
- 아키텍처: Ada Lovelace
- VRAM: 48 GB GDDR6 ECC
- TDP: 약 300 W
- 주요 특징:
- Ampere 대비 전력 대비 성능 1.5배 이상 향상, Ray Tracing·Tensor 코어 성능 대폭 강화
- 대규모 레이 트레이싱 VFX, 실시간 3D 시각화, AI 훈련 워크로드에서 프레임률과 처리량을 극대화
- PCIe 5.0 호환으로 최신 서버·워크스테이션 플랫폼에서 입출력 대역폭 2배 증가
- 추천 포인트:
- '최신 그래픽 API 및 AI 프레임워크를 최대 성능으로' 구동해야 할 때, Ada Lovelace의 모든 신기능을 활용하고 싶다면
• 데이터센터 트레이닝·추론: NVIDIA A100
- 아키텍처: Ampere
- 메모리: 40 GB 또는 80 GB HBM2e
- TDP: 250-400 W
- 주요 특징:
- HBM2e 메모리로 초고대역폭(>2 TB/s)을 제공해 대규모 모델 학습 병목 해소
- TF32·BF16·INT8·INT4·FP64 등 다양한 연산 정밀도 가속, 다중 인스턴스 GPU(MIG)로 자원 분할 지원
- NVLink 600 GB/s로 노드 간 통신 효율 극대화
- 추천 포인트:
- 대형 언어 모델(LLM), 멀티테라바이트 데이터셋 학습, 하이퍼스케일 AI 트레이닝 클러스터에 필수
• 차세대 AI 슈퍼컴퓨팅: NVIDIA H100
- 아키텍처: Hopper
- 메모리: 80 GB 또는 94 GB HBM3
- TDP: 350-700 W
- 주요 특징:
- Transformer 엔진 탑재로 LLM 및 어텐션 연산 성능 3배 이상 혁신적 향상
- HBM3 메모리로 대역폭·용량·전력 효율 모두 극대화, 대규모 분산 훈련과 다중 모델 서빙 최적화
- 새로운 NVLink C2C 및 PCIe 5.0 Gen 5 지원으로 GPU 간·서버 간 데이터 이동 병목 완벽 해소
- 추천 포인트:
- 초거대 모델(수백억~수조 파라미터) 트레이닝, AI 슈퍼컴퓨터 구축, 다음 세대 AI 서비스 인프라를 설계할 때
최종 정리
- 워크스테이션 최상위 → RTX A6000
- 차세대 워크스테이션 → RTX 6000 Ada Generation
- 데이터센터 트레이닝·추론 → NVIDIA A100
- AI 슈퍼컴퓨팅 → NVIDIA H100
예산, 플랫폼 호환성, 전력·냉각 인프라를 고려해 위 모델 중에서 가장 적합한 하이엔드 솔루션을 선택하세요!
4.4 VRAM 용량이 핵심인 작업 환경 (용량별 분류)
작업 유형에 따라 '한번에 올려둘 수 있는 VRAM 크기'가 최우선일 때가 있습니다. 아래는 낮은 용량부터 차례로, 대표 모델과 용도를 정리한 표입니다.
8 GB VRAM
- 모델 예시
- RTX A2000 (Ampere, 8 GB GDDR6, 70 W)
- RTX 4000 Ada Generation (Ada Lovelace, 8 GB GDDR6, 125 W)
- 주요 용도
- 경량 3D 모델링(수천~만 폴리곤)
- 소규모 AI 테스트·추론(배치 크기 작음)
- 가벼운 렌더링·영상 후반 작업
- 특징
- 작은 폼팩터와 낮은 전력 소모로 소형 워크스테이션·엣지 디바이스에 적합
- 예산이나 공간 제약이 있을 때 '가장 합리적' 선택
16 GB VRAM
- 모델 예시
- RTX A4000 (Ampere, 16 GB GDDR6, 140 W)
- Tesla T4 (Turing, 16 GB GDDR6, 70 W)
- NVIDIA A2 (Ampere, 16 GB GDDR6, 60 W)
- 주요 용도
- 4K 고해상도 그래픽 및 영상 편집
- 중간 규모 AI 학습·추론(배치 크기 보통)
- 과학 시각화·CAD 작업
- 특징
- VRAM 여유가 생겨 '데이터 오버플로' 위험 감소
- 전력 대비 성능 균형이 좋아 다용도 워크스테이션에 적합
24 GB VRAM
- 모델 예시
- RTX A5000 (Ampere, 24 GB GDDR6, 230 W)
- NVIDIA A10 (Ampere, 24 GB GDDR6, 165 W)
- 주요 용도
- 대형 배치(batch) AI 학습·추론
- 복잡한 과학·공학 시뮬레이션
- 고해상도 씬 렌더링(수백만 폴리곤)
- 특징
- 모델 파라미터와 입력 데이터를 동시에 올려두어도 여유 공간 확보
- ECC 메모리 지원(연구·금융·데이터센터 환경에서 안정성 보장)
48 GB VRAM
- 모델 예시
- RTX A6000 (Ampere, 48 GB GDDR6 ECC, 300 W)
- RTX 6000 Ada Gen (Ada Lovelace, 48 GB GDDR6 ECC, 300 W)
- 주요 용도
- 8K 이상 영상 후반 작업 및 VFX 파이프라인
- 초대형 AI 트레이닝(수백만~수억 파라미터)
- 대규모 분산 학습(카드 간 NVLink 구성)
- 특징
- 컨퍼런스 테이블처럼 널찍한 VRAM 공간
- NVLink 브릿지로 카드끼리 VRAM/연산 자원 선형 확장 가능
80 GB 이상 VRAM
- 모델 예시
- NVIDIA A100 (Ampere, 80 GB HBM2e, 250-400 W)
- NVIDIA H100 (Hopper, 80 GB 또는 94 GB HBM3, 350-700 W)
- 주요 용도
- 멀티테라바이트급 모델 트레이닝(LLM, 과학 슈퍼컴퓨팅)
- 초대규모 분산 훈련 및 다중 인스턴스 GPU(MIG) 활용
- 특징
- HBM 메모리로 초고대역폭 (>2 TB/s) 지원
- Transformer 엔진·NVLink-C2C로 분산 학습 병목 최소화
필요한 VRAM 용량을 결정할 때는 자신의 작업 환경과 작업 유형에 따라 알맞은 용량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상의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자료를 올려놓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처럼, VRAM 용량 또한 작업 테이블의 크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사용하는 용도에 맞춰 최소한으로 필요한 VRAM 용량을 결정한 다음, 여유 있는 작업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한 단계 더 큰 용량의 GPU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또한 GPU를 운용할 때의 예산, 전력 소비량, 발열 관리 능력 등 인프라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VRAM 용량을 최종 결정하면 좋습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