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파드와 서비스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IP 주소 대신 서비스 이름을 사용합니다. 이때 서비스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핵심 컴포넌트가 바로 CoreDNS입니다. CoreDNS는 클러스터 내부 DNS 서버 역할을 하며, 파드 간 통신이나 외부 네트워크 접근 시에도 중요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즉,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름 해석 쿠버네티스에서 서비스 간 통신은 보통 서비스이름.네임스페이스.svc.cluster.local 형태로 이뤄집니다. CoreDNS는 이러한 서비스 도메인 이름을 클러스터 IP로 변환하여 파드들이 안정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
ConfigMap을 통한 설정 관리 CoreDNS는 kube-system 네임스페이스의 coredns ConfigMap 설정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여기서 도메인 검색 경로, 캐싱, 외부 DNS 포워딩 등의 옵션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가 DNS 이슈를 해결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핵심 지점입니다.
플러그인 구조 CoreDNS는 모듈형 플러그인 구조로, 필요한 기능만 조합해서 사용합니다. 주요 플러그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CoreDNS는 보통 kube-system 네임스페이스에 Deployment 형태로 배포됩니다. 다음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ubectl get pods -n kube-system -l k8s-app=kube-dns설정은 ConfigMap으로 관리됩니다.
kubectl -n kube-system get configmap coredns -o yaml쿠버네티스에서 서비스 간 통신은 보통 서비스 이름 기반으로 이뤄집니다. 예를 들어, backend라는 서비스가 있으면 backend.default.svc.cluster.local 형태로 접근 가능합니다. 이때 CoreDNS가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기 때문에, IP가 변경되더라도 서비스 이름만으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CoreDNS 문제는 곧 서비스 간 통신 장애로 이어집니다. 주요 확인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kubectl exec로 파드 내부에서 nslookup 또는 dig 실행CoreDNS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부 DNS 서버로서, 서비스 디스커버리와 네트워크 통신의 핵심 역할을 담당합니다. ConfigMap을 통한 설정 관리와 플러그인 구조 덕분에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문제 발생 시 클러스터 전반의 서비스 연결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운영자가 반드시 이해하고 관리해야 할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