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

SSO(Single Sign-On) 이해하기: 하나의 로그인으로 여러 서비스 이용하기

회사 내부 시스템이나 여러 SaaS 서비스를 사용할 때, 매번 로그인해야 한다면 꽤 번거롭습니다. 메일 서비스, 문서 서비스, 사내 시스템, 프로젝트 협업 도구 등 사용자가 접근해야 하는 서비스는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한 번 로그인하면 연결된 모든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되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있습니다. 바로 SSO(Single Sign-On) 입니다.


SSO(Single Sign-On)이란

SSO(Single Sign-On)은 사용자가 한 번 인증을 하면 그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여러 서비스에 반복 로그인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방식입니다. 정리하면,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서비스에서 추가 로그인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구글 로그인 한 번 → Gmail / Drive / YouTube / Calendar 모두 접근 가능
  • 회사 계정 로그인 한 번 → 사내 포털 / 인사 시스템 / 메일 / 회계 시스템 자동 접근

SSO가 필요한 이유

이유설명
사용자 편의성 향상로그인 반복 입력 감소
보안 강화비밀번호 공유나 재사용 위험 감소
계정 관리 통합사용자 종료·변경 처리 시 전체 서비스에 반영 용이
기업 업무 생산성여러 시스템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로그인 부담 제거

특히 기업 환경에서 SSO는 사실상 표준에 가깝습니다.


SSO는 어떻게 동작할까 (핵심 흐름)

  1. 사용자가 웹 서비스 A에 접근합니다.
  2. 서비스 A는 "이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를 확인합니다.
  3. 인증이 되어 있지 않다면 SSO 인증 서버로 이동시킵니다.
  4.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인증 서버는 토큰 또는 세션 정보를 발급합니다.
  5. 이후 사용자는 다른 서비스 B, C에 접근할 때, 이 토큰을 확인하여 다시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핵심은 각 서비스가 직접 로그인 검증을 하지 않고, 인증 서버에서 신원 정보를 공유받는 구조입니다.


SSO 구현 방식: OAuth vs SAML

OAuth 2.0 / OpenID Connect

  • 웹/모바일 서비스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식
  • 구글 로그인, 카카오 로그인 같은 "소셜 로그인"이 대표적

SAML(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 기업 내부 시스템이나 SaaS 연동에서 많이 사용
  • IDP(Identity Provider) 기반 인증 구조
비교OAuth/OIDCSAML
주 사용 환경웹/모바일기업 시스템, 엔터프라이즈 환경
데이터 형식JSONXML
UI 경험소셜 로그인과 유사조직 내부 로그인 포털 형태

주의사항

항목체크 내용
사용자 프로비저닝사용자 생성/삭제 자동화 필요
로그아웃 처리하나의 서비스에서 로그아웃 → 전체 로그아웃 선택 필요
토큰 유효 기간사용자 경험 vs 보안 균형
MFA(다중 인증) 연동민감한 기능에는 추가 검증 필요

특히 기업 환경에서는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 SSO 조합이 거의 표준입니다. (예: 회사 계정 + OTP / 인증 앱)


정리

  • SSO는 한 번 로그인으로 여러 서비스에 자동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구조입니다.
  • 사용자 편의성과 보안, 계정 관리를 함께 개선할 수 있습니다.
  • OAuth/OIDC, SAML 등 다양한 구현 모델이 존재하며 상황에 따라 선택됩니다.
  • 기업 환경에서는 MFA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참고자료